1. 소유와 경영의 분리
-자본시장의 주식회사(소유와 경영이 분리돼 있는 법인을 의미)
-소유: 주주_shareholders(주식회사의 주인, 주주가 돈을 투자해 그 돈으로 공장도 짓고 사업을 함), 하지만 소유경영분리로 경영은 하지 못함
-그러면 경영은 누가 하는가?: 전문 경영인_management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측정해 주주들에게 보고.
-> 재무재표(FS: financial statements)
즉 전문경영인이 fs작성해서 주주에게 보고, 자기가 투자한 돈으로 어떻게 경영을 했는지.
-> 재무제표가 제대로 작성되었는가? -> 검증 : 회계감사
2. 재무제표의 구성
상장기업: K-IFRS(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반드시 적용...IFRS중에서 한국어로 채택된 것
.그럼 어떤 내용이 포함되는가?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이 두가지가 재무상태, 경영성과 측정하는데 큰 도움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주석(위의 4가지것들이 수치로 되어있으므로 글로 써서 정리한 것)
...이 주석까지 재무제표임!
3. 회계감사의 필요성
-주주들은 돈을 투자했지만 회사의 내막을 알지못해 1년에 한번씩 열리는 주총에서 전문경영인이 작성한 FS를 보고 의사결정함. 계속 투자할지, 이사진 경영진을 연임시킬지, 다양한 의사결정.
-> 결국 FS에 의존해서 의사결정을 하게됨
-> 즉 FS는 누군가에 의해 검증을 받아야 함: 회계감사(audit)를 받은 재무제표를 공시
..금감원 등 다양한 증권거래소에도 공시-> 투자자들에게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제공
-> 감사는 보호목적도 되는구나.
-회계 감사를 수행하는 자 : 감사인(auditor)
조건: 경영인과 독립성이 있는 사람이어야 함. fs에 대한 지식이 충분히 있어야 함.
-대부분의 국가에서 엄격한 자격을 갖춘 자에게 회계감사를 허용함. ->우리나라에서는 cpa
4. 경영진의 역할
-재무제표를 작성할 책임
->경영인이 작성하고 감사인에게 전달해야함
-재무제표를 회계기준(accounting standards)에 따라 작성하고 공시해야함.
...상장법인은 k-ifrs에 따라서 작성,공시해야함(비상장법인은x)
5.감사인의 역할
-경영진 주장(management assertions)
"재무제표가 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다"
-경영진이 작성한 fs를 받아 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는지를 평가
...(1)의 주장이 맞는지.
-fs가 중대한 왜곡표시(material misstatements)에 대한 적절한 의견(audit opinion)을 제시,표명
->중대한왜곡표시가 없다면... 적정의견///그밖에 부적정의견, 한정의견, 의견 거절 등
-감사인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감사를 수행: 회계감사기준(auditing standards)
...회계기준(상장기업fs작성기준)=/ 회계감사기준(옳게 작성되었는지 감사기준)
-감사인은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에 의해 의견을 표명
-> 중대한 왜곡표시가 있다/없다
6.회계감사의 역할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제고하여 재무제표의 가치를 증대시킴
->신뢰성 높으면 주주 등 투자규모도 높아짐,
->신뢰성이 높아지면 중요성, 사용빈도도 올라감.
-적정의견: fs가 회계기준에서 벗어나지 않았다(0) , fs가 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다는 의미
...이 회사 투자하는 게 적정하다(x)
7.감사받은 FS의 이용자
-주주 (FS성과를 보고 투자여부를 판단)
-채권자( FS를 보고 채권지불능력을 판단)
-정부 (국세청, 금감원 등 다양한 정부기관에서 기업의 내막을 알고싶을 때)
-신용평가회사 (해당기업의 신용등급 판별)
**핵심**
FS작성의무는 경영인에게 있지 감사인에게 없다,
독립된 감사인은 회계감사기준(회계기준X)을 따라 감사의견을 제시한다.(주관적X)
회계감사기준을 따라 FS가 작성되었을 때 '적정의견'을 표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