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회계감사의 개요(2)회계감사의 정의,설명(감사와 검토의차이)

디지털랫드 2024. 4. 2. 18:41

9.검토(Review)

-감사보다 낮은 보통수준의 확신(assurance)을 제공 -> 절차 간소화: 질문이라든가 분석적절차 통해

-질문, 분석적 절차 위주의 제한적인 절차

....실사, 조회서(X) 경영자에게 질문, 비율분석(o)

-검토기준(review standards)에 따라 재무제표를 검토

-연간 재무제표는 감사, 분기 반기 재무제표는 검토

...분기, 반기는 감사가 아닌 검토수준에 있는 이유: 3개월마다 분기 재무제포를 만드는데 그때마다 감사하면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해서.

 

..즉 제한적인 절차만 가지고 확신을 제공해주는 걸 검토라고 한다.(검토기준:review standards)

 

 

 

 

1.회계감사의 정의 

-미국회계학회ASOBAC의 정의(밑줄친 부분 두개 모두 충족되어야)

:auditing is a systematic process of objectively (3)obtaining and evaluating evidence regarding assertions about economic anctions and events to (4)ascertain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ose assertions and established criteria and (5)communicationg the results to interested users.

 

**회계감사기준, 회계기준 차이점

회계감사 증거를 수집하는 절차를 다루는 것: 회계감사기준

사전에 결정된 어떤 기준과 경영자 주장이 일치하는 지를 설명할 때 그때 사전에 결정된 기준: 회계기준

 

 

2.경영진의 주장 

-경영진이 작성하여 이용자에게 제시한 재무제표에 포함된 기업의 경제적 행위와 사건

..ex)유형자산의 실재성(실제 존재하느냐), 권리와 의무(과대평가x누락x.남의 자산이 아니고 이 기업의 자산이냐)무, 완전성(이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산을 모두 보고하고 있느냐), 평가 및 배분(손상차손, 감가상각을 회계기준대로 잘 하고 있느냐)

 

3.관련된 증거를 객관적으로 수집하고 평가

-회계감사기준(auditiong standards)

-감사인이 회계감사를 수행할 때 준수하여야 할 행위기준( 가장 일반적인걸 GAAS라고 해서 게스라고 함.)

-GAAS(Generally Accepted Auditiong Standards)

비교..회계기준은 GAAP(accounting principle)

 

4.사전에 설정된 기준과의 일치정도 확인

-사전에 설정된 기준

=회계기준(accounting standards)= 재무보고체계 (회계기준을 회계감사기준서에서는 이렇게 부름)

-GAAP(Generally Accounted Accounting Principles)

-한국:상장기업-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비상장기업-일반회계기준

-미국: FASB(미국의 회계기준을 만드는 곳)회계기준

 

5.결과를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하는 체계적인 과정

...전달하기까지 감사라고 부름

 

-회계감사의 결과는 감사보고서로 작성

-감사보고서에는 감사의견(audit opinion)이 포함되어야 함

(1)적정의견(unqualified opinion)-회계감사기준에 맞게 fs작성이 되었다면.

(2)한정의견(qualified opinion)

(3)부적정의견(adverse opinion)

(4)의견거절(disclaimer opinion)

 

 

 

경영진의 주장(assertions)

1.보고기간 말(재무상태표-자산,부채보고) 계정잔액 

-실재성(Existence)..실제로 있는지

-권리와 의무(Rights & Obligations).. 소유권있는지, 담보x

-완전성 (Completeness)...누락해서 보고하지 않았는지

-평가 및 배분 (Valuation & allocation) ...감가상각, 손상평가 기준에 맞게 했는지

 

2. 감사대상기간의 거래 및 사건...경영진의 주장요소

-발생사실(Occurrence)...매출액이 실제로 발생했다

-완전성(Completeness)..매출액 누락하지 않고 손익계산서에 보고했다

-정확성(Accuracy)...정확하게 보고했다

-기간귀속(Cut-off)...당기 매출액이다(전기, 차기x)

-분류(Classification)...영업외 수익, 영업수익 분류했다

 

 

3.표시와 공시(Presentations & disclosure)

-발생사실(Occurrence)

-권리와 의무(Right & obligations)

-완전성(Completeness)

-분류와 이해가능성(Classification &understandability)....주석 글 등 공시이해자들이 이해할 수 있게끔 작성되었는지.

-정확성과 평가(Accuracy & 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