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심리학이란>
마음/행동/두뇌에 관한 과학적 연구로 우리가 어떻게 지식을 습득, 저장, 변형, 사용하는지를 다루는 심리학의 한 영역
study of mind, behavior, and brain.
-인지심리학에서의 '마음'의 정의
: 지각, 주의, 기억, 정서, 언어, 결정, 사고, 추리와 같은 기능을 창조 및 통제
:삶의 매 순간 당면한 목표(goal)을 달성하도록 표상을 establish정립, create생성, control제어, process처리, execution작동 하는 시스템
근대 인지심리학의 역사와 거장들...
- 분데트(Wilhelm Wundt, 1832~1920) : 구조주의 심리학과 분석적 내성법 / (19세기)심리학을 독립적 학문 분야로 확립
.......근대 심리학의 창시자/ 경험적 증거(empirical evidence)중시->21세기 현대 인지심리학의 방법론
- 에빙하우스 (Hermann Ebbinghaus, 1850~1909) : 기억에 대한 최초 연구 / 망각 곡선 이론 .......기억 양적 측정/무의미철자망각곡선: 최초학습후 급격 감소, 2일 후 30%미만 기억이 남음, 행동측정
- 칼킨스 (Mary Whiton Calkins, 1863~1930) : 최신성 효과 발견 / 미국 심리학회의 최초 여성 회장
-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 : “주의”의 본질 / 일상의 심리적 경험 강조>>>분데트, 에빙하우스 비판
"내 감각에는 제공되지만 내 경험에 제대로 도달하지 “ 못하는 것들이 수백만 가지다. 그것
은 내 관심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나의 경험은 바로 내가 주의를 기울이기로 마음먹은
것들이다… 주의란, 동시다발적인 여러 대상이나 생각의 흐름 중 하나가 분명하고 명료한
형태로 내 마음을 차지하는 것이다… 이것은 특정한 대상들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다른 것들로부터 마음이 철수하는 것을 함의한다"
-bruce goldstein, 감각 및 지각심리학
- 왓슨(John Watson, 1878-1958) : 행동주의(behaviorism)
......내성법 비판(자극들에 의한 내성이 아닌 객관적이고 관찰 가능한 반응에 초점을 맞춰야 함),
의식(사고, 정서, 추리와 같은 관찰할 수 없는 정신과정)이 아니라 관찰 가능한 행동이 심리학 연구대상, 즉 마음을 연구대상에서 제외/ 동물연구/ 응용심리학에 공헌
- 스키너(B.F. Skinner, 1904-1990) : 조작적 조건 형성 (operant conditioning), 행동주의 정착
인지신경과학(Cognitive neuroscience) 기법
- 뇌병변(brain lesion)
-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 (PET)
- 기능자기공명 영상술 (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사건관련전위 기법 (ERP: Event-related potential)
인지신경과학의 발달
- 19세기 : 뇌 내부의 전기적 신호, 신호 전송 경로 발견, 해부학자 카밀로 골지 (Camilo Golgi)와 라몬 이 카할(Ramon Y Caial)의 기여
인공지능, 인지과학의 발달
- 존 매카시 (John MaCarthy) : 인공지능 창시자 중 한명. 인공지능 하계 연구 프로젝트 (1956)를 시작으로 인공 지능 연구 분야 확립
최근 경향
- 인지혁명(Cognitive revolution): 1950년대 - 행동주의 한계
....동물 학습 연구에서 인간의 기억으로 연구주제 이동/ 기억 주의 사고 등 정신활동 연구/ 언어학의 발달.촘스키/아동의 사고과정 연구.피아제/ibm퍼스널 컴퓨터의 보급. 정보처리단계모형
- 정보처리 접근(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
.....- Atkinson-Shiffrin 기억모형/정신적 표상(mental representation)

- 인지신경과학(Cognitive neuroscience) 기법
뇌의 구조와 기능을 여러 기법을 통해 평가
· 뇌병변(brain lesion): 뇌졸중, 종양, 뇌충격, 사고 등으로 인한 뇌조직의 파괴
·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 PET 스캔
· 기능자기공명 영상술: fMRI
· 사건관련전위 기법: ERP
<신경과학적 연구방법과 뇌>
정보처리 방법
- 자극 → 감각기관 → 입력 → 정보화(encoding) → 지각
- 신경과학: 광파(빛: light wave) 에너지를 신경 충동을 전환하는 과정
- 감각(Sensation)과 지각(Perception)의 특성
① 모든 정보는 지각 감각을 통해 입력되었다? No!
② 후각과 기억의 밀접한 연관 관계
- 감각계 : 감각 수용기(Sensory receptor) / 수용장(Receptive field) / 시각 흐름(Optic flow) / 수용기 농도
- 감각 부호화와 표상 : 모든 감각정보는 활동 전위로 부호화 됨 / 신경(nerve)은 따라 척수와 뇌로 전달됨 / 일차 피질 영역: 각 감각계에 상응 / 이차 영역: 일차 영역을 통해 연결됨. 이차영역에 의한 표상은 감각 유형의 특정 측면을 부호화
뇌의 구조와 대뇌피질의 기능적 도해
- 대뇌피질: 대칭인 2개의 반구(좌반구와 우반구)
- 네 개의 엽: 엽마다 감각기능을 가지고 있음.
- 종열: 두 반구 사이의 길고 깊은 틈
- 피질의 주름으로 생긴 구(surci)와 회(gyri)
- 피질층: 각 층들은 다른 세포의 유형을 가짐, 층마다 세포의 밀집도 다름, 가장 위층인 층은 세포가 거의 없고 5층은 세포들이 밀집
- 변연계(림빅 시스템): 반구 내측 부분에 위치, 정서, 성행동, 동기 기억과 관련 주요 역할 담당
<시각 체계와 신경과학적 접근>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 지각(Perception) / 감각(Sensation) / 인지(Cognition)
- 지각 과정 : 원격자극과 근접자극을 통해 수용. 다른 인지 능력으로 통하는 관문
뉴런
- 뉴런 : 정보처리의 기본 단위, 생각하는 세포
- 골지(신경망 이론)와 카할(뉴런 주의)의 기여에 힘입어 뉴런 연구 발달
- 뉴런의 구조
① 세포체와 수상돌기: 넓은 지역에서 정보 입력하는 역할 (입력부 역할)
② 축색 (축색돌기): 축색돌기의 종말은 많은 가지를 통해 넓은 지역에 정보를 전달(출력부 역할)
- 시냅스의 역할 : 뉴런들 사이에 작은 연접 공간,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정보 전달이 가능하게 함.
- 시냅스 구조 : 시냅스 전막, 시냅스 후막, 시냅스 틈
- 세포막의 전기적 활동 : 1932년 노벨상 수상자 에드가 아드리언에 의해 단일 뉴런 전기 신호를 기록.
- 뉴런의 세 가지 유형 : 감각뉴런, 개재뉴런, 운동뉴런
신경표상
- 신경 수준에서 경험의 결과로써의 표상을 다룸
- 종종 인간의 경험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자극에 근거하지 않고, 신경표상에 근거
- 지각은 감각 이상